교육 일정 |
|
---|---|
교육 개요 | ▪ 오픈스택 서비스를 설치하는 방법과 해당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이다. |
교육 목적 |
▪ 오픈스택 서비스의 구조와 운영에 대해서 알 수 있다. ▪ 오픈스택 인프라 서비스를 설정하고 운영할 수 있다. ▪ 주요 오픈스택 서비스들에 대해서 학습할 있다. ▪ 오픈스택에서 사용하는 스토리지를 설정 및 운영할 수 있다. |
교육 기간 | 4일(28시간) |
교육비 | 2,000,000 원 |
교재 | (-) |
선수 지식 |
▪ 리눅스 디스크 파티셔닝 기술(최소 LVM 및 fdisk 숙달 요구) ▪ 리눅스 syslog를 통한 트러블 슛팅 가능자 ▪ systemd 및 NetworkManager 사용 혹은 운영 경험자 ▪ RPM/DEB 패키지 사용 경험자 ▪ MariaDB 운영 혹은 설치 경험자 ▪ 기본적인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및 운영 경험이 있는자 |
교육 대상 | ▪ 오픈스택 기반의 클라우드(Cloud) 환경을 운영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시스템 관리자 |
교육 내용 |
* 사용서적: Linux Foundation 공식교재(LFS452 course manual) * 오프라인 과정(2,350 달러, 4일) + 온라인 과정(499 달러, 1년)을 함께 제공합니다. - 참조 웹 사이트 URL: www.openstack.org/coa 2. 클라우드 기본 3. OpenStack Compute와 게스트 가상 머신 관리 4. OpenStack 클라우드의 구성요소 5. OpenStack 클라우드의 구성요소 - Part 2 6. 참조 아키텍처 7. 선수 서비스 구축 8. 서비스 구축 개요 9. Neutron을 이용한 고급 SDN 10. Neutron과 고급 SDN - Part 2 11. Ceph를 이용한 분산 클라우드 스토리지 12. Swift를 이용한 오픈스택 객체 스토리지 13. 클라우드의 고가용성(High Availability) 14. 오픈스택과 클라우드 보안 15. 모니터링 및 미터링(Metering) 16. 클라우드 자동화 17. 결론 |
수강후기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