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뉴바로가기
메인메뉴 바로가기
컨텐츠 바로가기
 Loading... 

컨텐츠

교육과정 상세보기

교육과정 상세보기

리눅스 파운데이션 엔지니어 과정, Linux Foundation LFS311 with certificate exam

교육정보
교육 일정
교육 개요 ▪ 고급 시스템 엔지니어로 나아갈 수 있는 기술과 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이다.
▪ Linux Foundation Certified Engineer(LFCE) 자격증을 준비하는 과정이다.
교육 목적 ▪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설정 및 구성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.
▪ 기본 및 주요 네트워크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.
▪ 배포판 별로 네트워크 설정 및 운영 방법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다.
▪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안전하고 올바르게 설정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.
▪ 파일, 웹, 이메일과 네임 서버를 구축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.
▪ 파일 서버, 웹 서버, 이메일 그리고 bind 서버 구축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다.
교육 기간 4일(28시간)
교육비 2,000,000 원
교재 (-)
선수 지식 ▪ 3개의 주요 리눅스 배포판 군(Red Hat, SUSE, Debian/Ubuntu) 및 관리, 설정, 업그레이드에 관한 지식
▪ 리눅스 설치와 CLI 사용 같은 기본적인 리눅스 지식
▪ 리눅스 파운데이션 관리자(LFS301) 과정 이수(권장) 및 이와 동등한 기술 및 지식
교육 대상 ▪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과 서비스에 관한 실습 지식을 얻으려는 시스템 관리자
▪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과 서비스에 관한 실습 지식을 얻으려는 IT 전문가
교육 내용

* 오프라인 과정(2,150 달러, 4일) + 자격증 시험(300 달러, 2시간) + 온라인 과정(299 달러, 1년)을 함께 제공합니다.
* 무료로 자격증 시험을 한번 볼 수 있습니다. (다른 엔지니어 과정의 시험날짜로 선택 가능)
*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에 적용 가능하도록 디자인 되어있습니다. (특정 리눅스 배포판에 종속X)


1. 소개
- 리눅스 재단
- 리눅스 재단 교육
- 배포판 세부내용
- 과정 솔루션과 자원 얻기


2. 리눅스 네트워킹 개념 및 검토
- OSI 모델 소개 및 상위 계층
- OSI 모델 전송 계층
- OSI 모델 네트워크 계층
- OSI 모델 하위 계층
- 네트워크 토폴로지
- 도메인 네임 시스템(Domain Name System, DNS)
- 시스템 서비스
- 시스템 서비스 관리하기


3. 네트워크 설정
- 런타임 네트워크 구성
- 부트타임 네트워크 구성
- OpenVPN 소개


4. 네트워크 문제해결과 모니터링
- 네트워크 문제해결
- 클라이언트 측 문제해결
- 서버 측 문제해결
- 네트워크 모니터링


5. 원격 접속
- 원격 접속 역사
- 암호론 소개
- 원격 접속 보안
- 원격 그래픽


6. 도메인 네임 서비스(Domain Name Service)
- DNS 개요
- BIND (named) 서버
- BIND Zone 설정


7. HTTP 서버
- Apache
- Apache 설정
- Apache 가상 호스트
- Apache 보안


8. 향상된 HTTP 서버
- Mod Rewrite
- Mod Alias
- Mod Status
- Mod Include
- Mod Perl
- 성능 고려사항


9. Email 서버
- Email 개요
- Postfix
- Dovecot


10. 파일 공유
- FTP
- vsftpd
- rsync
- SSH 기반 프로토콜
- 다른 프로토콜


11. 고급 네트워킹
- 라우팅
- VLANs
- DHCP
- NTP


12. HTTP 캐싱
- 개요
- Squid 설정


13.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
- NFS
- SMB/CIFS
- 다른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


14. 네트워크 보안 소개
- 보안 개념
- 보안 사례
- 보안 도구


15. 방화벽
- TCP Wrappers
- Netfilter 개념
- Iptable 명령어
- IPtable 관리하기
- 고급 방화벽


16. 가상화 개요
- 가상화 역사
- libvirt
- Docker 예시


17. 고가용성
- 개요
- DRDB


18. 시스템 로고
- 개요


19. 패키지 관리
- 자원으로 설치하기
- 패키지 관리
- 패키지 시스템 이익
- 주 패키지 관리 시스템
- 리눅스 배포판의 역할
- RPM Spec File 선택
- RPM Spec File 예시
- 데비안 패키지 만들기

수강후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