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뉴바로가기
메인메뉴 바로가기
컨텐츠 바로가기
 Loading... 

컨텐츠

교육과정 상세보기

교육과정 상세보기

2023 Amazon AWS 실무자 초급

교육정보
교육 일정
교육 개요 ▪ AWS 실무자 초급 과정에서는 AWS클라우드의 아키텍쳐의 이해와 핵심 서비스를 실무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의 계정을 통해 직접 실습을 진행합니다. AWS를 바로 사용해야 하거나 실무에 활용해야 하는 분들을 위한 교육입니다.
교육 목적 ▪ AWS 인프라 아키텍쳐를 이해하고 AWS 클라우드의 아키텍쳐 구성도를 그릴 수 있다.
▪ AWS 핵심 서비스를 실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.

교육 기간 3일(21시간)
교육비 1,200,000 원
교재 (-)
선수 지식 없음
교육 대상 ▪ 인프라 엔지니어 및 IT 관련 종사자
▪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, 운용 및 관리하는 가상화 엔지니어
▪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이 필요한 시스템 엔지니어
▪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와 구축에 관심있는 엔지니어
교육 내용

1일차

클라우드 개념과 소개

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 배경, 가상화의 이해

퍼블릭 클라우드 – 프라이빗 클라우드 VMware와의 대조를 통한 퍼블릭 클라우드의 개념과 필요성

클라우드 플랫폼 – AWS와 GCP, Azure와의 개념 차이와 설명


AWS 클라우드 아키텍쳐 분석 및 설계

AWS Management Console 계정 생성 및 접속

VPC의 정의와 AWS기반 네트워킹 아키텍쳐의 이해

AWS 기본 아키텍쳐 구성요소 - Region(지역) , AZ의 이해.

AWS 고가용성 분석및 설계 방법 - Multi-Region 및 Multi-Zone.


AWS 클라우드 서버 - EC2 인스턴스, EBS, 스냅샷

인스턴스의 개념과 이해 및 AWS 클라우드 인스턴스 타입과 종류

EBS Volume - Boot Storage의 종류와 이해

스냅샷을 이용한 백업과 복원

Tag의 개념과 이해

Security Group의 적용과 설정

Key pair의 이해와 생성, 적용, 변경

인스턴스 접속 – Putty를 통한 Key Pair방식의 인스턴스 접속

EIP의 개념과 이해 및 EIP 생성과 이용, 할당



2일차

AWS 클라우드 프라이빗 네트워크 – NAT Gateway와 Bastion Host

Route Table(라우트테이블)의 개념과 이해 및 VPC와의 연동

Subnet(서브넷) – Public Subnet과 Private Subnet의 생성 및 인스턴스 연동

NACL의 개념과 이해 및 AWS 기반 접속과 보안

Private Instance의 이해 및 구축, SSH 접속

Bastion Host의 필요성 및 VPC 기반 구축, DB 인스턴스로의 네트워킹 설정

NAT Gateway의 이해 및 구축, DB 인스턴스와의 연동


AWS 클라우드 퍼블릭 네트워크 – 서브넷과 로드밸런서, Route 53, ACM

Internet Gateway(인터넷 게이트웨이)의 생성 및 VPC와 연동

NACL의 개념과 이해 및 AWS 기반 접속과 보안

로드밸런서의 이해와 AWS 클라우드의 LB종류

ELB구축과 EC2와의 연동

AWS 기반 DNS의 개념과 이해

Route 53의 라우팅, 라우팅 정책의 이해

Record Set의 이해와 종류

TLS/SSL의 이해 및 Certificate Manager를 통한 HTTPS 연결 구축


3일차

AWS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스토리지 연동 네트워크 - S3, EFS

EFS서비스의 정의와 EC2마운트 및 3-Tier 연동

S3 서비스의 정의와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개념과 이해

S3 Storage의 종류와 차이

S3안에서의 버킷 생성 및 파일 업로드, 권한 설정

S3와 EC2 & EBS & EFS연동을 통한 실무 인프라 구성


AWS 클라우드 보안 - IAM, WAF, EndPoint

IAM서비스의 정의와 AWS 루트 계정, 서브 계정의 이해

IAM의 권한, 정책, 역할의 적용

IAM의 정책 생성 및 JSON의 이해

WAF의 개념과 웹서비스 방화벽 구축 적용

엔드포인트의 개념과 필요성

엔드포인트를 통한 S3와 VPC 보안 통신


4일차

AWS 관리 – Organizaion, CloudWatch, AutoScaling

CloudWatch의 이해 및 알람 설정

CloudWatch를 통한 서버 로그 정리 및 백업

CloudWatch와 SNS의 연동

AutoScaling의 개념과 적용 사례

AutoScaling의 스케쥴 정책 및 부하 자동 생성 적용


AWS 관리 – AWS CLI, Systems Manager, Metadata, Cloud Trail, Config

AWS CLI의 이해와 설치

AWS CLI를 통한 서버 생성 및 관리

메타데이터의 개념과 서버에서의 메타데이터 확인

AWS 서버 연결의 종류 및 Systems Manager의 활용

AWS Cloud Trail의 이해와 활용

AWS Config의 이해와 활용



수강후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