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 일정 |
|
---|---|
교육 개요 | ▪ 클라우드 환경과 온-프레미스 환경에서의 리눅스 구축과 운영은 다양한 차이점이 존재합니다. 최신 CentOS-8 버전으로 온-프레미스와 AWS 클라우드를 활용한 현대적인 실무 리눅스 기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. |
교육 목적 |
▪ Linux 서버 구축과 관리에 필요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. ▪ 다양한 서버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. (Web Server, WAS Server, NFS Server) ▪ AWS클라우드를 활용하여 백업 및 확장을 할 수 있다. ▪ 리눅스의 보안을 강화하고 모니터링과 로그 및 프로세스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. ▪ 온-프레미스에서의 Linux구축과 AWS클라우드에서의 Linux구축의 차이를 학습할 수 있다. ▪ AWS클라우드를 활용하여 기본 Web-WAS-DB 3Tier를 구축하고 클라우드 모니터링 서비스 및 보안 서비스를 활용하여, 안전한 AWS Linux 서버 운영이 가능하다. |
교육 기간 | 3일(21시간) |
교육비 | 1,500,000 원 |
교재 | (-) |
선수 지식 | 없음 |
교육 대상 |
▪ 서버 & 네트워크 엔지니어 ▪ 리눅스 서버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한 엔지니어 |
교육 내용 |
1일차 리눅스의 개요 및 설치, 기본 설정 • Linux OS의 등장 배경과 아키텍쳐 (Linux – Cent OS의 특징 및 RHEL) • CentOS 설치 – 가상 머신, Server & Client • OS사용시 기본 설정 – Hostname, NTP, Chrony, Network등 • CentOS Command Line, VI Editor, Shell Scripts CentOS-8 사용자 및 그룹 관리 • Cent OS의 사용자, 그룹의 개념과 이해 및 관리 • 환경변수의 이해 및 su, sudo su의 차이와 변경 적용 • 사용자 보안 및 패스워드 변경 알림 설정, 사용자 삭제 • 실무자를 위한 패스워드 복구 방법 CentOS-8 보안 관리 • SSH 접속의 이해 – Key-Pair 또는Password를 통한 보안 접속 및 설정 변경 • 보안 접속 설정 – Bastion Host와 Firewall • 사용자 보안 관리 – 접속중인 사용자 확인 및 강제종료 / root접속 허용 설정 CentOS-8 네트워크 관리 • Firewalld – SELinux 및 방화벽의 개념과 관리 • DNF 다루기 – RPM 및 DNF의 차이와 사설 폐쇄망에서의 DNF리포지토리 구축 2일차 CentOS-8 스토리지 관리 • 파일시스템과 부트 볼륨 관리 (EXT3/XFS, Grub/LILO) • 디스크 추가 및 확장, 복사를 통한 새VM으로의 Reattach 및 스냅샷 • LVM의 개념과 적용 및 실습 CentOS-8 프로세스 및 로그 관리 • 프로세스, 프로그램, 데몬의 개념과 이해 • 포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의 개념과 프로세스 작업 제어 • CentOS에서의 로그 확인 • Crontab을 통한 로그 백업 및 tar 명령어를 통한 압축 파일 생성 및 복사 CentOS-8 응급 복구 및 모니터링 •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개념 및 응급 모드 • 런레벨의 개념과 사용자 모드 전환 • CentOS-8 자원 모니터링 CentOS-8 3Tier 연동 - 웹서버 및 WAS서버 설치 • 아파치의 개념과 아파치 웹서버 설치 • 컴파일을 통한 사용자 환경 설정 웹서버 구축 • Tomcat서버 설치 및 아파치 웹서버와 연동 • Mysql 설치와 Web-Was-DB 3Tier 최종 구성 3일차 클라우드 실무 활용 AWS 클라우드 서버 - EC2 인스턴스에서의 CentOS-8와 온프레미스 CentOS-8 대조 • 인스턴스의 개념과 이해 및 온-프레미스 CentOS-8과 비교 • Key pair의 이해와 생성, 적용, 변경 • 인스턴스 접속 – Putty를 통한 Key Pair방식의 인스턴스 접속 • 온프레미스 CentOS-8과의 네트워크 설정 - EIP의 개념과 이해 및 EIP 생성과 이용, 할당 AWS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활용한 백업과 관리 자동화 • EBS & S3 서비스의 정의와 블록&오브젝트 스토리지의 개념과 이해 • S3안에서의 버킷 생성 및 파일 업로드, 권한 설정 • AWS CLI를 통한 AWS S3로의 데이터 백업 • AWS를 이용한 국가간 백업 설계 • Cron과 anacron을 이용한 정기적/비정기적 백업 스케쥴링 관리 AWS 3Tier 구성 – NFS와 EFS를 통한 공유스토리지 • EFS의 개념과 구축 및 할당 • 온프레미스에서의 NFS와 EFS의 차이 대조 • NFS를 통한 Web-Was-DB 3Tier 구축 및 연동 AWS 보안 – VPN접속 및 응급 복구 • VPN의 개념과 이해 • OpenVPN 및 ClientVPN을 통한 EC2서버로의 안전한 접속 설정 • 네트워크 접근 제어 - Security Group의 적용과 설정, NACL, Firewall과의 대조 • Root패스워드 분실 – 온프레미스 CentOS-8과 AWS 클라우드와의 응급 복구 대조 |
수강후기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