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 일정 | |
---|---|
교육 개요 |
▪ 본 과정은 Cisco 라우터와 스위치에서 사용되는 IP QoS에 관한 내용들을 제공한다. ▪ Differentiated Services (DiffServ), Integrated Services (IntServ) 그리고 Best Effort (over provisioning)의 개념 뿐만 아니라 IP QoS 이론, QoS 설계시 고려 사항 그리고 다양한 QoS 설정 방법들을 제공한다. ▪ 다양한 Case Studies와 Lab을 통해 실제 망과 유사한 상황에서의 QoS 적용 방법을 제공한다. |
교육 목적 |
▪ 데이터, 보이스, 비디오 트래픽을 수용하는 통합된 IP 네트워크에서의 QoS 적용과 관리방법들을 학습할 수 있다. ▪ 통합 IP 네트워크에서 QoS의 여러가지 방법들을 비교 설명하고, 그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QoS 메카니즘 이해할 수 있다. ▪ Cisco QoS Queuing 기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혼잡 상황을 대처하는 방법 설명할 수 있다. ▪ Cisco QoS Traffic Policing과 Traffic Shaping 기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한하는 방법 설명할 수 있다. ▪ Cisco QoS Link Efficiency 기법을 사용하여 낮은 대역의 WAN 링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설명할 수 있다. ▪ ISP나 Enterprise 네트워크에서 QoS를 설계하고 적용하는 방법 설명할 수 있다. |
교육 기간 | 5일(35시간) |
교육비 | 2,500,000 원 |
교재 | (-) |
선수 지식 | ▪ CCNA 소지자 또는 동등의 지식 보유 |
교육 대상 |
▪ 시스코 제품 및 인터네트워킹 산업의 신규 고객 및 기존 채널 파트너 ▪ 음성, 화상, 데이타를 통합한 네트웍을 구축하고 관리할 책임을 가진 네트웍 관리자 ▪ CCIP, CCVP를 취득하고자 하는 분 |
교육 내용 |
Module 1: Introduction to IP QoS ▪ QoS의 필요성과 설정 tool
Module 2: The Building Blocks of IP QoS ▪ QoS의 모델 비교(Best-Effort, DiffServ, InterServ) ▪ QoS 메카니즘 이해
Module 3: Introduction to Modular QoS CLI and Auto-QoS ▪ MQC의 구성요소와 적용 방법 ▪ AutoQos VoIP 이해 ▪ AutoQos Enterprise 이해
Module 4: Classification and Marking ▪ Layer 2에서의 Classification & Marking ▪ Layer 3에서의 Classification & Marking ▪ MQC를 사용하여 classification하기 ▪ MQC를 사용하여 marking하기 ▪ NBAR를 사용하여 classificaiton하기 ▪ VPNs feature를 위한 QoS 설정 ▪ QoS와 BGP간의 상호 작용 이해 ▪ 시스코 catalyst 스위치에서의 classification & Marking
Module 5: Congestion Management ▪ Queuing의 이해 ▪ FIFO, WFQ, CBWFQ, LLQ의 설정과 확인 ▪ LAN 혼잡 관리(congestion management) 설정과 확인
Module 6: Congestion Avoidance ▪ 혼잡 회피(congestion avoidance)의 이해 ▪ RED, CBWRED, ECN의 설정과 확인
Module 7: Traffic Policing and Shaping ▪ Class-Based policing 설정과 확인 ▪ Class-Based shaping 설정과 확인 ▪ Frame Relay 인터페이스에서의 CB shaping 설정과 확인 ▪ FR-VATS(Voice Adaptive Traffic Shaping과 Fragmentation)의 이해
Module 8: Link Efficiency Mechanisms ▪ Link Efficiency 메카니즘 이해 (L2 payload 압축, header 압축 등) ▪ Class-Based header 압축 설정 ▪ LFI(Link Fragmentation과 Interleaving) 설정
Module 9: QoS Best Practices
[Lab Guide] Lab 2-1. QoS Lab 설정과 장비 초기화 Lab 2-2. 기본적인 QoS 확인 Lab 3-1. AutoQoS를 이용한 QoS 설정 Lab 4-1. MQC를 이용한 classification과 marking 설정 Lab 4-2. NBAR를 이용한 classification 설정 Lab 4-3. VPNs features를 위한 QoS 설정(QoS preclassify) Lab 4-4. LAN 기반의 Packet classificaiton과 marking Lab 5-1. 기본 Queuing 설정 Lab 5-2. LLQ(Low-Latency Queuing) 설정 Lab 5-3. 시스코 Catalyst 스위치에서 Queuing 설정하기 Lab 6-1. DSCP 기반의 WRED 설정 Lab 7-1. Class 기반의 policing 설정 Lab 7-2. Class 기반의 shaping 설정 Lab 8-1. Class 기반의 Header 압축(compression) 설정 Lab 8-2. LFI(Link Fragmentation and Interleaving) 설정 |
수강후기 |
|